기다리던 폭락장이 왔습니다.
현재 상황을 알아보고 과거 폭락장의 하락폭을 기준으로 대응 계획을 세워보겠습니다.

1. 현재 상황
1) 미국 지수
나스닥 100(QQQ)은 4월 3일 (목), 4일 (금)에 각각 5.29%, 6.11% 떨어졌고,
S&P 500(SPY)은 각각 4.39%, 5.85% 하락했습니다.


2) 빅스 지수
빅스 지수는 45.31입니다. (보통 30 이상이면 높다고 하는데 많이 넘어왔습니다.)

3) 결론
이제, 본격적인 매수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작년 말부터는 매월 100만원 단위로 매수했었는데 이제는 조금 더 크게 들어갑니다.
2. 대응 계획
1) 종목 선정
미국 지수인 QQQ(QQQM)을 주로 매수합니다.
이유 1. 왜 미국 기술주인가?
미국은 기술을 선도하는 몇 개 국가 중 하나로 지속적으로 R&D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기술에서 크게 뒤처질 우려가 없다고 생각해, QQQM을 중심으로 매수하려고 합니다.
또 QQQ는 나스닥 100을 따라가는 지수로 S&P 500보다 등락폭 크지만 수십년간 우상향해왔습니다.
등락폭 커 하락이 깊지만 상승도 빠른데요, 우상향한다는 점에서는 안정성도 있습니다.
이유 2. 왜 달러로 투자하는가?
달러는 기축통화로 안전자산입니다.
한국의 원화보다도 훨씬 안정적인 통화이고요.
이미 부동산(아파트)와 월급이 원화이기때문에 통화가치 하락의 위험을 달러로 헷지하려고 합니다.
이유3. 왜 QQQM인가?
QQQM은 QQQ와 같으나 수수료가 더 쌉니다.
2) 현재 상황
4월 4일 (금) QQQ가 -20%를 찍으면서 매수를 시작했습니다.
종목은 QQQ보다 수수료가 저렴한 QQQM을 매수했고,
고점은 222.64달러, 평단가는 179달러에 19개를 매수했습니다.
(한국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이랑 섞어 500만원 매수해서 QQQM의 수량은 13개인데,
계산이 쉽도록 QQQM으로 바꿔 표시할게요.)

3) 매수 기준
이전 하락장에서 QQQ의 하락폭(전고점 대비)을 확인해보겠습니다.
QQQM은 연식이 별로 안되어서 비슷한 QQQ로 확인했고, QQQ 2배 레버리지 상품인 QLD도 함께 넣었습니다.
-20%대의 하락은 2018, 2020년 총 2회
-30%대의 하락은 2022년 1회
-50%대의 하락은 2008년 1회
-80%대의 하락은 2000년 1회입니다.
-20~50%대의 하락이 4회(80%)이니 50%대까지의 계획만 세워볼게요.

4) 매수 계획
지금 제가 가지고 있는 자금은 3500만원입니다. (남편이 투입할 금액 3500만원을 합하면 총 7000만원입니다.)
5% 하락할 때마다 500만원씩 매수하고, 월급(월 300만원씩)을 모았다가 저점 신호가 나왔을 때 투입합니다.
단 30, 35%하락에서는 바닥이라고 예상하고 750만원씩 담으려 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표로 볼게요.
전고점 대비 20% 하락한 지점, 주가 178달러에서 이미 500만원가량을 담았기때문에 지금은 더 담지 않고요,
전고점 대비 25% 하락한 주가 167달러에서 20개를 매수합니다. (총 보유 개수는 39개가 됩니다.)
매수금액은 3340달러(500만원)이고, 매수 후 평단가는 173달러가 됩니다.
매수 당시에는 수익이 -4%이겠지만 주가가 전고점(222달러)에 도달하게 되면 수익은 1929달러(280만원)입니다.

전고점 대비 30% 하락한 주가 156달러에서는 33개를 매수합니다. (총 보유 개수는 72개가 됩니다.)
매수금액은 5143달러(750만원)이고, 매수 후 평단가는 165달러가 됩니다.
매수 당시에는 수익이 -6%이겠지만 주가가 전고점(222달러)에 도달하게 되면 수익은 4133달러(603만원)입니다.
전고점 대비 35% 하락한 주가 145달러에서는 35개를 매수합니다. (총 보유 개수는 107개가 됩니다.)
매수금액은 5065달러(750만원)이고, 매수 후 평단가는 159달러가 됩니다.
매수 당시에는 수익이 -10%이겠지만 주가가 전고점(222달러)에 도달하게 되면 수익은 6860달러(1001만원)입니다.
30~35%쯤에서 쌍바닥이 그려지면, 모아둔 월급을 투입합니다.
월 300만원씩 모을 수 있는데 이 때는 타이밍을 잘 맞춰보겠습니다.
40, 45%에서는 표와 마찬가지로 500만원씩 매수하고요,
50% 이상 하락하면 더 이상 모아둔 돈은 없으니 매월 월급만큼만 매수합니다.
세 가지 수칙
1) 기회는 위기의 얼굴을 하고 온다.
하락장은 지나갑니다, 지수는 또 올라올테니 매도하면 절대 안되겠죠.
상승장에서 후회하지 말고 기회가 왔을 때 계획대로 담아보려 합니다.
2) 하락/침체기는 짧으면 1년, 길면 10년
다만, 짧으면 1년 이내의 하락장, 길면 10년까지도 이어지는 침체기가 올 수도 있다고 마음의 준비를 해야겠습니다.
V자 반등을 생각하고 매수하면 쉽게 올라오지 않는 주가에 힘들어질수도 있으니까요.
3) 적절한 금액만
또 몰빵은 언제든 안되겠죠.
인생에서 어떤 일이 생길지 모르니 현금은 항상 일정 비중 들고있어야겠습니다.
'파이어족으로 은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망보험금, 생전에 연금으로 받는 방법(종신보험 유동화) (0) | 2025.03.16 |
---|---|
파이어족이 되는 방법 10가지 (ft. 파이어 도서 11권을 읽고) (0) | 2024.01.10 |
파이어 준비하기 STEP 2. 은퇴 후 일과 정하기 (0) | 2023.10.15 |
파이어 준비하기 STEP 1.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 알기 (0) | 2023.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