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국내주식 알아보기

현대차 2023 4분기 실적발표 ① [지역별, 차종별 판매]

by 짭짤한 앨리스 2024. 2. 26.
728x90

현대차의 2023 4분기 실적이 아주 우수했는데요,

공식 홈페이지의 IR자료를 보며 지역별(북미, 국내, 유럽, 인도, 중남미 등) , 차종별(SUV, 제네시스, A~D급), 친환경차(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수소전기차) 판매 실적을 확인해보겠습니다.  

 

1. 지역별 판매

1) 분기별 판매

판매량으로 보면 북미 1위(551), 국내 2위(398), 유럽 3위(326), 인도 4위(308)입니다. 

성장률로 보면 유럽이 13.5~19%로 가장 높고요, 인도가 9%대로 2위, 북미가 8~9%대로 3위예요.

올해 안에 인도에 법인을 세우고 주식도 상장할 예정이라고 하던데 성장률을 보니 왜 인도인지 알 것 같습니다. 

글로벌 판매 전체를 보면 도매는 4.9%, 소매는 6%가량 증가했습니다.  

 

2) 연간 판매

지역별 연간판매량은 북미가 1위(2126), 국내가 2위(1524), 유럽이 3위(1257), 인도가 4위(1200), 중남미가 5위(605)고요,

성장률로 보면 북미가 10~14%대로 1위였고요, 국내가 10%대로 2위, 유럽이 5~11%대로 3위였습니다.

연간으로 보니 인도의 판매대수와 유럽의 판매대수가 비슷해요. 

인도의 경제성장이 가파르고 인구가 많다보니 인도를 타겟팅하는 게 점점 더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글로벌 찬매 전체를 보면 도매는 6.9%, 소매는 4.9% 증가했어요.

 

2. 차종별 판매

1) 차종 분류

차급은 경형(A), 소형(B), 준중형(C), 중형(D),  준대형차(E), 대형차(F), 스포츠 카(S) 등으로 나뉩니다. 

친환경 차전기차(EV), 하이브리드(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수소전기차(FCEV)로 분류되는데요,

>전기차는 모터(배터리)로만 동력을 내어 차체 내의 공간이 넓어지는 것이 장점입니다. 

>하이브리드는 모터(배터리), 엔진(연료탱크)를 모두 갖고있어 서로 보완해주는 차입니다. 

출발, 저속주행시에는 모터를, 고속주행시에는 엔진을 사용하면서 타이어의 움직임으로 다시 전기를 생성하기때문에 연비가 뛰어난 것이 장점입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기본적으로 하이브리드와 유사합니다. 다만 배터리 용량이 조금 더 크고, 플러그를 꽂아 외부충전도 가능한 것이 장점이예요.

>수소전기차는 연료탱크에 석유대신 수소연료를 넣고요, 수소가 전기를 만들어 구동합니다. 

 

2) 분기별 판매

4분기에는 SUV의 판매비중만 늘어났고 다른 차종은 줄어들거나 그대로였습니다. 

SUV(55.2%), C급 준중형(15.1%), B급 소형(7.8%), D급 중형(6.1%), 제네시스(5%), A급 경형(4.4%) 순으로 비중이 높았어요.

친환경차는 전체 판매량 중 16%를 차지했고 하이브리드의 판매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했습니다. 

하이브리드(9.5%), 전기차(5.3%), 플러그인 하이브리드(1.1%), 수소전기차(0.1%) 순으로 비중이 높습니다. 

 

3) 연간 판매

연간으로도 순위는 비슷합니다. 

SUV가 2% 넘게, D급이 1% 비중을 늘렸고요,

SUV(53.9%), C급 준중형(15.6%), B급 소형(7.8%), D급 중형(6.4%), 제네시스(5.3%), A급 경형(4.6%) 순으로 비중이 높았아요.

친환경차는 전체 판매량 중 16.5%를 차지했고 하이브리드는 2.8%, 전기차는 1.1% 비중을 늘렸어요. 

하이브리드(8.9%), 전기차(6.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1.1%), 수소전기차(0.1%) 순으로 비중이 높습니다. 

 

친환경차의 판매가 계속 증가해서 좋네요.

화석연료 사용이 줄면서 전기차가 중요해져가는데 앞으로도 전기차 판매가 더 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또 현대차에서는 이미 개발해놓은 수소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데 잘 활용되길 기대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