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해외주식 알아보기

2023 3분기 에퀴닉스(EQIX) 실적발표 총정리 (ft. IR자료)

by 짭짤한 앨리스 2024. 1. 14.
728x90

에퀴닉스는 데이터센터를 임대해주는 리츠 기업입니다.

2023년 10월 말에 있었던 3분기 실적발표의 AFFO, 지역별 매출 성장, 부채, 임대율 등을 총정리해보겠습니다.

(모든 그림은 에퀴닉스 홈페이지 IR자료를 편집했습니다.)

순서
[실적] 1. AFFO, 주당 AFFO
          2. EBITDA 
          3. 매출 
          4. 지역별 매출 성장
          5. 판매관리비
[안정성] 1. 부채
              2. 기존 데이터센터 현황: 임대율, 매출성장
[투자]  1. 반복적 지출
           2. 비반복적 지출

 

 

실적

 

 

 

1. AFFO, 주당 AFFO

실적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부터 보겠습니다. (그림 참고)

 

1) AFFO

AFFO는 리츠의 본업으로 인한 수익을 측정하는 지표로 리츠의 실적을 볼 때 순이익 대신 활용합니다. (파랑색 란 참고)

(순이익은 부동산 감가상각으로 이익이 너무 작게 측정되어 잘 활용하지 않아요.) 

이번 분기는 $772로 전분기에 비해 2%, 전년도 3분기에 비해 8% 증가했습니다. 

 

2) 주당 AFFO

주당 AFFO는 주식 한 주당 벌어들인 금액으로 리츠의 실적을 볼 때  EPS 대신 활용합니다. (하늘색 란 참고)

마찬가지로 작년 3분기 대비 $0.46, 전분기 대비 $0.15 순조롭게 늘고있습니다. 

 

2. EBITDA

EBITDA는 이자비용, 세금, 감가상각비용 등을 빼기 전 순이익을 말합니다. (주황색 란 참고)

위 그림을 보면 AFFO보다 금액 자체가 더 높게 나오는데요,

$936로 전분기에 비해 4%, 전년도 3분기에 비해 7% 증가했습니다. 

 

3. 매출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12%나 성장했습니다. 

곧바로 이익이 되는 건 아니지만 회사가 얼마나 성장하고 있는지 잘 보여줍니다.

그 중 일시적인 매출보다 반복되는 매출이 중요한데(회색) 22년 3분기부터 23년 3분기까지 계속해서 늘고있어요.

 

4. 지역별 매출 성장

작년 동기에 비해 EMEA(유럽/중동/아프리카)의 매출은 26%, EBITDA는 16%로 가장 많이 성장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전년 대비 매출 10%, EBITDA 15% 성장했고요,

아메리카는 매출 7%, EBITDA 1%로 가장 적게 성장했습니다. 

 

5. 판매관리비

판매관리비의 비율이 적을수록 회사의 이익이 커지는데요,

표에서 보면 전체 매출의 19.4%(빨강)로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데이터센터는 원래 유지비용이 크지만 성장성이 높은 섹터입니다.)  

노란색으로 표시된 매출, EBITDA, AFFO는 위에서 확인했습니다

 

 

 

안정성

 

1. 부채

부채 만기는 평균 7.8년으로 긴 편입니다. (그래프 참고)

고정금리부채가 96%이기때문에 시중금리 영향을 덜 받아서 안정적입니다. 

 

2. 기존 데이터센터 현황

 

1) 임대율(이용율)

기존 데이터센터의 85%를 이용하고 있어 이용률이 높아요.

(다른 리츠의 임대율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역별로 리츠 소유 부동산, 임대 부동산으로 나누어 임대율을 볼 수도 있습니다. (표 참고)

미국, EMEA, 아시아태평양 임대율(사용율)은 각각 78%, 80%, 81%로 비슷합니다. (빨강)

전 지역을 통합한 임대율은 80%입니다. (반대로 공실률은 20%겠네요.)

 

* 참고: 리츠 소유 및 임대 부동산 비율

리츠 소유는 64%, 2038년 이후에 만료되는 임대는 23%로 안정적인 부동산 비중이 총 87%입니다.

13%만 2038년 이전에 만료되는 임대입니다. 

 

 

2) 매출성장

기존 데이터센터에서 9%, 확장된 데이터센터에서 28%가 성장했습니다. 

새로 지어진 곳에서 28%로 크게 성장했지만요,

기존 데이터센터도 가격을 올려받거나 임대율을 높여 매출이 높아질 수 있는 환경입니다.

 

 

지출 및 투자

 

1. 반복적 지출

 

반복적 지출은 유지, 설치, IT&네트워크 유지 비용으로 나뉘며 이 순서대로 비중이 큽니다. (그래프 참고)

유지비용은 유지보수 일정에 따라 분기별로 달라요. 

이번 분기에는 매출의 2.5%를 지출했습니다. (매해 2~5% 사용)

 

2. 비반복적 지출

비반복적 지출은 보통 사업 확장을 위한 금액인데요,

미국에서 64%, EMEA(유럽/중동/아프리카)에서 23%,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 13%를 차지합니다. 

확장 자본의 50% 이상은 주요도시에서 캐파를 늘리는 데 활용하고요,

확장의 85% 이상은 자기소유, 장기임대부지에서 하고있어서 한 곳에서 오래 영업하기에 안정적입니다. 

 

3. 확장 및 개발

 

데이터센터는 캐비닛 단위로 임대 용량을 표시합니다.

2023년 4분기에는 캐비닛 6225개가 더 늘어납니다.

2024년 1분기 (1075개) 에는 증설이 1/6로 줄지만 2분기(8800개), 3분기(6525개)에 특히 많이 확장됩니다. 

캐비닛을 많이 증설하는 분기에는 이익이 확대될 수 있으니 시기를 기억해두면 좋겠습니다. 

 

리츠는 섹터별로 특징이 뚜렷한데요,

데이터센터 리츠의 특징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데이터센터 리츠 한 번에 파악하기 (ft. 종류, 사업 모델, 성장성)

데이터센터는 리츠 중에서도 가장 성장성이 높은 섹터입니다. 4차 산업에도 꼭 필요한 리츠이니 장기투자를 하기에도 좋을텐데요, 데이터센터 리츠에 대해 총정리해보겠습니다. 1. 데이터센터

aliceinsaltyland.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