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기와 금리인하기에 따라 TLT 주가흐름이 다릅니다.
이전 글에서 금리가 3%이상 크게 인하했거나 금리최저점이었던 기간의 TLT 주가흐름을 살펴봤습니다.
하지만 그런 시기는 TLT 상장 이후 2회밖에 없었서 다른 기간도 확인하며 주식투자에 참고해보겠습니다.
순서 1. 금리인상기 및 인하기의 TLT 주가흐름 2. 주식투자에 활용하기 - 2024년 예상 기준금리에 따라 |
1. 금리인상기 및 인하기의 TLT 주가흐름
TLT 상장 이후 모든 기간의 주가흐름을 보겠습니다.
금리에 따라 기간을 네 종류로 나누었습니다. (그래프 색깔)
1) 인하: 금리가 떨어지는 시기 (파랑)
2) 최저점: 금리가 최저점에서 유지되는 시기 (초록)
3) 인상: 금리가 올라가는 시기 (빨강)
4) 최고점: 금리가 최고점에서 유지되는 시기 (초록)
또 검정색 화살표로 TLT 주가가 올랐는지(↑), 내렸는지(↓), 변동이 없었는지(→) 표시해볼게요.
구간이 많아 헷갈리실텐데 표로 다시 보겠습니다.
파랑은 금리인하기, 빨강은 금리인상기, 초록은 최저/최고점 유지기입니다.
금리구간 | 시기 | 금리 | 주가 |
금리인하 | 2002년 7월 ~ 2003년 6월 | 1.75 →1 | 12% 상승 (82→92) |
최저점 유지 | 2003년 6월 ~ 2004년 7월 | 1 | 9% 하락 (92→84) |
금리인상 | 2004년 7월 ~ 2006년 6월 | 1.25→5.25 | 횡보 (84→84) |
최고점 유지 | 2006년 6월 ~ 2007년 9월 | 5.25 | 4% 상승 (84→88) |
금리인하 | 2007년 9월 ~ 2008년 12월 | 5.25→0.25 | 35% 상승 (88→119) |
최저점 유지 | 2008년 12월 ~ 2015년 12월 | 0.25 | 0.8% 상승 (119 →120) |
금리인상 | 2015년 12월 ~ 2019년 6월 | 0.5→2.5 | 10% 상승 (120 →132) |
최고점 유지 | 2019년 6월 ~ 2019년 8월 | 2.5 | 11% 상승 (132 →147) |
금리인하 | 2019년 8월 ~ 2020년 3월 | 2.25→0.25 | 11% 상승 (147→164) |
최저점 유지 | 2020년 3월 ~ 2022년 3월 | 0.25 | 32% 하락 (194 →132) |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최고점 유지기는 총 2회이고 TLT주가는 4%, 11% 상승(평균 7% 상승) 했습니다.
금리인하기는 총 3회이고 주가는 12%, 35%, 11% 상승(평균 19% 상승)했습니다.
최저점 유지기는 총 3회이고 주가는 9%, 32% 하락, 0.8% 상승 (평균 13% 하락)했습니다.
금리인상기는 총 2회이고 주가는 횡보, 10% 상승(평균 5% 상승) 했습니다.
금리 최저점에는 주가가 하락(평균 13%)하고 금리인상기에는 작은 폭 상승(평균 5%)합니다.
금리 최고점에도 주가가 상승(평균 7%)하지만 금리인하기에 특히 많이 상승(평균 19%)합니다.
*채권은 원래 아주 장기적으로 보면 우상향하는 자산이라고 알려져있습니다.
때문에 모든 구간에서 하락보다는 상승이 많습니다.
2. 주식투자에 활용하기
2007년 9월 ~ 2008년 12월, 급격한 금리인하(5.25→0.25)가 있을 때에 35% 상승 (88→119)했었는데요,
올 해에는 이렇게 큰 수익이 나올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2023년 12월 FOMC의 점도표를 보면, 2024년에는 기준금리가 4.5~5.0 사이일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현재(5.5%)보다 0.5~1.0%가 떨어지는 것인데요,
1년 사이에 0.75%정도 금리가 내렸던 2002년 7월 ~ 2003년 6월 을 보면 TLT는 12% 상승 (82→92)했었습니다.
수익을 예상하는 데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과거 금리인하기의 주가는 12%, 35%, 11% 상승했었어요.
올해에도 금리가 떨어지면 주가가 상승할 확률이 더 높아보이죠?
배당도 연 3%가 넘게 나오니, 욕심내지 않고 보유한다면 소소하지만 안정적인 수익을 얻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모두 성투하세요!
'주식 > 해외주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RE의 2024 미국 부동산 전망(리테일, 소매업) (0) | 2024.01.08 |
---|---|
CBRE의 2024 미국 부동산 전망(오피스, 사무실) (0) | 2024.01.08 |
과거 금리인하기의 TLT 주가 흐름 살펴보기 (0) | 2024.01.05 |
자기관리, 위탁관리 리츠의 의미와 특징 (1) | 2024.01.04 |
미국 리츠 투자가 매력적인 5가지 이유(ft. 금리인하기) (1) | 2024.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