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영상 요약정리

송희구 작가님 유튜브 영상 정리 351~360 (ft. 부동산투자)

by 짭짤한 앨리스 2025. 2. 6.
728x90

송파구 왕십리 보다 저렴한 10개 단지, 전세 맞추는 방법, 경기도 32평 vs 서울 24평, 40평대 아파트, 평촌, 인덕원, 호계동, 광명 하안동, 신공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세는 영상 업로드 시점 기준입니다. (호갱노노 이미지는 25. 2. 8. 기준)

*파랑(꼭 기억할 부분), 초록(개인적인 의견)

351. 용의 꼬리냐 뱀의 머리냐: 매매가 9~10억/갭 3~4억 아파트 (24. 7. 4.)

 

1) 광명 이편한세상 센트레빌: 2815세대, 10년식, 30평대 9억 중반/3억갭 (오르는 순서: 래미안 자이>두산위브트레지움>광명이편한세상 센트레빌, 철산동 오른 뒤 하안동 오름)

2) 신공덕래미안 2차: 458세대, 00년식,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 3년 뒤 입주, 23평(방 3, 화장실 1) 시세 9.5억/갭 3.5억, 교통 좋아 거래 활발, 먹자골목이라 지저분한 느낌

3) 도화현대홈타운 2차: 도화동은 언덕, 초등학교 위치, 공덕/마포역 이용, 인도가 좁음, 상권이 침침함, 용산국제업무지구가 들어서도 도화동보다는 이대/아현/애오개역 부근이 수혜받을 것

4) 양평현대6차: 770세대, 00년식, 당산 생활권(메인 동네는 아님), 주변 단지들은 작음, 선유초/중 붙어있음

5) 강변래미안: 801세대, 02년식, 거래 활발(당산 삼성래미안 4차>당산센트럴 아이파크>당산현대 5차>강변래미안 순으로 수요 높음), 당산역 도보권, 대형평형은 여의도/한강뷰, 소형평형은 뷰가 없음, 장점이 딱히 없음

6) 보라매 이편한세상: 386세대, 10년식, 20평대 9.8억, 7호선 신대방 삼거리역/신림선 보라매병원역 이용 가능, 서울 정 중앙에 있음, 주변이 빌라/주변 상권/초교 없음

7) 결론: 신공덕래미안 2차, 광명/당산/보라매보다 주변에 비싼 단지들이 많음(대장이 가면 같이 오름), 모두 대장단지가 아니기때문에 가장 상급지, 전세가가 가장 높음(전세가=실거주 만족도, 소득수준 반영)

 

352. 송파구가 왕십리보다 싸다

 

-좋은 단지: 엘리트레파(잠실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레이크팰리스, 파크리오)>잠실주공 5단지, 장미 1차, 헬리오시티

1) 래미안 송파 파인탑: 794세대, 12년식(준신축), 26평 최고가 16.6억/시세 14억 후반 (마래푸 최고가 16억 중반 시세 14~15억으로 비슷, 앞으로의 시세도 확인해보기), 삼성래미안파크팰리스도 송파 신축 중 하나 

2) 송파 파인타운: 임대세대가 절반 이상이라 매수를 꺼리는 사람들이 있음, 시세 조금 눌려있는 상태, 임대가 일반으로 전환되면 시세가 오를 것(서판교 운중동처럼), 복도식이 적고 역과 가까운 곳 중 임대가 일반으로 빨리 전환될 곳을 보기(거래량이 많을 것)

3) 송파 파크 하비오 푸르지오: 999세대, 16년식, 34~61평, 주변이 쾌적, 문정법조타운 회사/상권 좋아지는 중, 주상복합이나 아파트(분당파크뷰와 비슷), 34평 최고가 18억/시세 15억 (마포 신축도 18억, 입지는 마포가 살짝 위)

4) 가락삼익아파트: 재건축, 분담금은 보수적으로 생각(조합원 안내보다 최소 1억은 더 낸다고 가정), 작가님 주관으로는 매매가+분담금이 헬리오보다 2억 정도 저렴해야 함.

5) 문정동 가락현대 1차: (세대수가 조금 아쉬움)

6) 문정동 삼성 래미안: 역과의 거리 빼고는 다 괜찮음, 40평대 가성비/시세 15억(헬리오 40평 25억/왕십리 센트라스 45평 20억)

7) 문정 시영: 토지면적은 래미안 2배이나 세대수는 380세대밖에 차이가 안 남, 11~22평, 리모델링 추진중이나 쉽지 않을듯(분담금 크게 낼 바에는 더 좋은 단지를 매수할 수 있음)

8) 가락쌍용 1차, 가락금호: 믿고 가는 단지, 시세 비슷, 최고가 대비 많이 하락/연식때문에 회복을 못함, 입지 대비 안전마진 양호, 가락금호(헬리오시티 맞은편, 전철접근 좋음, 학군 아쉬움), 가락쌍용(학군이 좋지만 남향/동향으로 물건 잘 고르기)

9) 올림픽선수촌, 올림픽 훼밀리타운: 입지가치/땅 크기/재건축으로 너무 좋은 곳, 은퇴하신 분들 많아 재건축은 상당히 오래 걸릴 것

 

353. 전세 맞추는거 이렇게 해보자 (24. 7. 10.)

 

1) 잔금일: 전세 세입자 입주하는 날로 하기

-전세금은 최근 평균 시세에 맞추기

-전세가 오를 때는 전세를 새로 맞춰야하는 매물이 유리

2) 매매가: 투자금보다 매매가가 중요

-같은 조건의 매물이라면, 갭이 조금 더 벌어져있어도 매매가가 낮은 것이 좋음

-매매가8억/전세가 5억/갭 3억인 매물보다 매매가 7.7억/ 전세가 4.2억/투자금 3.5억인 매물이 좋은 것

+) 전세가가 높은 건 일시적인 이득, 매매가가 낮아 이후 더 많은 차익을 가져가는 건 영구적인 이득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3) 수리: 잘 수리된 매물이라면 2~3천 더 주고 매수

-수리된 것이 전세/매매에 유리

4) 역전세 대비: 전세가 다른 집보다 높거나 공급이 많을 때

-다음 계약까지 현금마련

5) 현장 꼭 방문하기 

6) 오래 보유해도 좋은(시세 상승할) 곳을 매수: 전세가가 아니라 매매가가 오를 곳

 

354. 아파트 지금 살까 말까?: 언제보다 무엇을 사는가가 더 중요

 

1) 분위기: 업로드 당시는 매물을 거두어들이고 가격을 올리는 분위기

2) 예상: 단기적 급반등 후에는 조정이 있을 것

3) 행동하기: 안전마진 있고 장기적 확신이 있으면 매수

-거래량 많고 전고점까지 반등: 시세 내려도 금방 회복하는 아파트

-거래량 많고 전고점까지 10~20% 여유: 추가 상승여력 있음

-거래량 많고 23년 1월 대비 상승 안 함: 투자가치는 없고 환금성은 좋음

-거래량 없고 상승 안 함: 가능한 빨리 매도

 

355. 수원 가성비 아파트, 서울 재건축 아파트 (24. 7. 15.)

 

1) 참누리 포레스트 vs 수원역 해모로 vs 망포역 sk뷰

-참누리 포레스트: 356세대, 15년식, 7층 아파트가 길게 배치되어 저층도 해가 잘 들어옴, 신분당선 광교역 역세권, 초등학교와 거리가 멂, 메인역인 광교중앙역은 아니지만 상권 양호, 조용한 동네

+) 용적률이 104%, 건폐율이 23%이고 24평 단일평수로 세대수에 비해 실거래가 많아 보입니다. (최고점은 7.8억 정도)

-수원역 해모로: 863세대, 15년식, 매교역(수인분당선)/수원역(1/수인분당선) 사이에 위치, 주변은 낙후

-망포역 sk뷰: 710세대, 16년식, 작가님 개인적으로 광교 다음으로 망포역 남쪽 단지 선호

+) 여기도 거래량이 많고, 25/34평 구성입니다. (최고점은 7.2억 정도)

-결론: 참누리 포레스트 (신분당선으로 강남/판교 출퇴근 좋음, 광교의 새 아파트와 깨끗한 환경, 과거 최고점이 가장 높음)

 

2) 목동 1단지 vs 송파 장미: 둘다 실거주는 불편, 거주성보다는 투자성을 비교

-목동 1단지: 1882세대, 85년식, 평균 대지지분 25.5평, 19~57평, 학군 우수, 9호선 신목동역 이용

-잠실 장미: 3402세대, 79세대, 평균 대지지분 21평, 중대형평수, 잠실주공 5단지 재건축이 가장 큰 호재(끌어줘야 장미도 같이 감)

-결론: 잠실 장미아파트(잠실의 스카이라인이 바뀔 것, 더 좋아지는 입지로 목동보다 장미아파트가 더 비싸질 것으로 예상)

 

356. 구축이라도 서울? 경기도 신축? (24. 7. 17.) :
경기도 32평 vs 서울 24평

 

1) 호재 없지만 위치 좋은 서울(사당우성 2단지)vs 호재 있는 경기도(하남미사 골든센트로)

-하남 미사 골든센트로 32평: 9호선 연장, 배후세대(교산) 호재

-사당우성 2단지 23평: 4/7호선 초역세권, 방 2/화장실 1, 먹자골목이 있음

 

2) 경우에 따른 결론

-실거주: 아이있는 가정은 하남 선택, 동네 쾌적/균질성/커뮤니티나 산책 등 편리

-투자성: 땅값만 고려한다면 사당 선택

-사당우성 18평 vs 골든센트로 24평: 골든센트로 선택, 신축대단지 18평은 구조/커뮤니티/주차 등 편리성 때문에 20평대 시세를 따라가나 구축 18평은 수리/전세 맞추기 어려워 비추천

*신축은 전세가가 잘 버티거나 오름 

 

357. 시세가 너무 벌어졌어....(24. 7. 18.)

 

1) 상황: 강남/서초/잠실 먼저 오르고 마포/성동/강동이 더 뜨겁게 오르는 중

2) 갈아타기

-마포/성동/강동에서 강남/서초/잠실: 갭 좁아졌으니 갈아타기

-다른 지역에서 마포/성동/강동: 갭 벌어졌으니 좁혀질 때까지 기다리기

(내가 가진 아파트가 거래량 활발하고 시세/전세가가 오르고있다면 곧 좁혀질 것, 아니라면 아무때나 갈아타기)

3) 주의점: 상승장에는 매도 계약서 작성 후 2주 안에 매수계약서 작성

 

358. 여기가 이상한 서울보다 훨씬 좋지 (24. 7. 22.)

 

1) 평촌

-대장: 아크로 베스티뉴, 초역세권 대단지 신축, 후분양이라 분양가 비쌀 듯,  청약 결과에 따라 주변 아파트 시세 예측 가능

-평촌 트리지아: 범계역까지 버스 한 정거장, 1~3차 2400세대

2) 인덕원

-대장: 푸르지오 엘센트로, 32평 12억

-인덕원역 남쪽 신축: 대장이 오르면 인덕원 퍼스비엘/더퍼스트/래미안에버하임/센트럴자이/자이sk뷰 같이 오를 것, 전세가가 높아 갭 2.3~2.7억, 역세권/학군지가 아니라서 장기보유보다 갈아타기 필요

-호계동: 평촌더샵아이파크/센텀퍼스트/어바인퍼스트: 역과 거리가 멀고 걸어다니는 사람이 없음(빌라/시장 섞여서 차로 이동, 좋은 입지는 차와 보행자가 모두 많음), 상품성/위치/가격으로 가성비라 거래량 많음

-단지보다 매물이 중요: 같은 지역의 비슷한 상품성이면 비슷한 폭으로 상승/하락

-인덕원역 1/8번 출구 토지: 과천급의 너무 좋은 입지, 개발 여력, 인덕원과 과천과 연결되면 지역 전체에 호재

 

359. 공동명의? 각자 따로따로? (24. 7. 26.): 가족 세대수가 합산되어 혼인신고하면 손해가 큼

 

360. 24평 투자? 32평 실거주? (24. 7. 29.)

 

1) 롯데캐슬 골드파크 실거주 vs 당산센트럴아이파크 갭투자

-롯데캐슬 골드파크: 금천구청역 1호선 대장단지

-당산센트럴아이파크: 입지로 훨씬 더 좋아 센트럴 아이파크 선택, 마래푸와 갭 1~1.5억 유지하는 곳

-결론: 당산센트럴아이파크 선택, 당산은 마포/성동/강동 다음 입지로 따라서 상승할 것, 21년 최고가/작년 저점을 비슷한 급지/상품성 단지들과 비교 후 매수

+) 고점/저점을 비교해보고 매수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2) 신당동 삼성 vs 휘경 sk뷰 vs DMC SK뷰 아이파크포레 VS 신정뉴타운 롯데캐슬, 세 자녀 가정의 실거주

-자녀 없다면 구축이라도 직장/교통, 자녀 있다면 유치원/어린이집/주차 이점있는 신축

-결론: 신정뉴타운 롯데캐슬 선택, 자녀 3명으로 40평대 신축 추천, 신당동 삼성은 구축/ 휘경 sk뷰는 방 3개라 탈락, 롯데캐슬은 시세 저렴하고 학원가 있음

-40평형: 교통이 좋은 곳은 20~30평대가 유리, 학군/동네 분위기/실거주 만족도 좋은 곳은 40평대도 괜찮음, 50평대는 최상급지가 아니면 수요가 확 줄어듦

신당동 삼성
휘경 SK뷰
DMC SK뷰 아이파크포레
신정뉴타운 롯데캐슬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