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작가님 영상에서 재건축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나니 관심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일단은 부린이로서 오늘도 부동산 영상을 보고 요약해볼게요.
*회색(부동산/경제와 관련이 적은 내용), 파랑(꼭 기억할 내용), 초록(느낀 점)
61. 왜 나만 운이 없을까요? : 긍정적인 마음으로 투자 실천하기
-항상 바쁘다고 하는 부정적인 사람/귀가 얇은 사람/척을 잘하는 사람/쉬운 길을 택하는 사람이 되지 말자
62. GTX는 아파트 시세와 연관성이 있을까? (22. 7. 20.)
-교통비가 세고 열차 기다리거나 갈아타는 시간이 길어 시세에 영향이 적음
(KTX가 서울역으로 연결되는 곳이 비싸지 않듯이 GTX도 마찬가지)
63. 급매물을 잡는 현실적인 방법 (22. 7. 22.)
1) 동네에서 제일 바쁘고 거래 많은 부동산에 자주 가서 오래 앉아있기 (영업 방해 안 되게 며칠 기다리기)
2) 급매가 나왔을 때 더 욕심내지 말고 매수하기 (10억이라면 9억 2~3000만원이 최대치)
-시기별 기준: 2020년 가격이면 무조건 산다
-퍼센트 기준: 현재 실거래가보다 10~20% 떨어지면 무조건 매수한다
> 너무 중요한 얘기를 들었네요, 7~8% 떨어지면 급매의 최고봉쯤 되나봅니다.
원하는 아파트가 생기면 꼭 부동산에서 대기해야겠어요.
64. 건물주가 되는 길은 어렵지 않아요 (feat. 1주택자 다음 투자처)
1) 눈에 보이는 모든 건물을 유심히 관찰
2) 건물/상가 주택 자세히 조사 : 입주한 업체, 가격, 공실의 이유, 개선 사례, 운영방식, 임대료 등
-건물은 사업: 유지관리, 고장 수리, 방수공사, 주차문제, 임차인요구/민원 해결, 개선해 가치 높이는 것이 중요
3) 단독주택, 토지, 상가주택 등을 직접 매수
65. 아파트 팔고 상급지 재개발 물건 사는 건 어때요? (22. 7. 29.)
1) 재개발: 투자 경험 있고 자가 있는 사람이 추가 투자하기 좋음
2) 리스크: 지연/중단될 수 있음, 추첨을 잘 해야 함, 큰 분담금
3) 결론: 재개발보다는 아파트 매수 (업로드 당시 서울 신축이 가치대비 비싼 것 같아 구축을 추천)
66. 용적률 높은 구축아파트는 어떻게 될까요? (22. 7. 31.)
:신도림(20년차)에서 노원구(몸테크)로 갈아타면 좋을까?
1) 입지 신도림이 더 우수
-작은 공장/낡은 빌라 많았지만 백화점/호텔/신규아파트/주복 들어서면서 좋아지는 중
2) 리모델링은 최소 30년은 지나야 함.
+) 신도림 현대백화점 근처도 살기 편할 것 같았습니다.
67. 소득, 금리, 집값 하락과 상승에 관하여
1) 집값 하락 이유
-집값이 급하게 올랐기때문(금리보다도)
-대출은 주담대까지만(영끌하면 던지게 됨)
2) 서울/경기 외곽부터 하락하는 이유
-중심부는 거주자가 경제적 여유/하락장 경험이 있고 실사용 가치가 더 큼
3) 본격 하락기가 아닐 수 있는 이유
-대량실직 없음: 부도로 인한 대량 해고 등 IMF같은 상황이 아님
-준공후 미분양이 적음: 입주시기에도 미분양이라는 건 대세하락이 어느 정도 진행됐음을 의미
68. 부자가 되려는 나를 막는 친구들 (22. 8. 6.)
-건강하지 않은 관계는 재밌지만 허무해 결혼 후 저절로 멀어짐
-건강한 관계: 긍정적으로 말해주는 사람, 타인의 성공으로 배우는 사람, 같이 부자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
-나 먼저 건강한 친구가 되어줄 것
69. 원자재값 상승했는데 재건축 아파트는 어떻게 되나요? (22. 8. 8.)
1) 신축 아파트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
-신축이 (영상 업로드 당시) 5년간 오른 시세를 견인하며 너무 비싸짐 (높아진 프리미엄)
2) 구축: 재건축/재개발
-원자재값 상승으로 사업성이 떨어짐
-부동산은 땅값, 핵심지는 사업속도와 상관 없이 상승
-핵심은 입지와 환금성
70. 송도/부평, 어디에 내집마련 해야 할까요? (22. 8. 10)
1) 송도
-장점: 평지, 국제도시, 녹지, 바이오 산업단지, 빌딩/호텔 등 깔끔한 신도시
-단점: 강남까지 차로 1시간
2) 부천이라면 빌라 등으로 분위기가 안 좋은 부평 산곡역보다 중앙공원쪽을 확인
71. 연인과 부부가 만들어가는 경제적 자유 (22. 8. 12.)
1) 뜻 맞추기
2) 계획 세우기: 지출/저축/내집마련 계획
3) 실행하기: 임장, 매수, 대출, 상환, 갈아타기
72. 아파트 갈아타기로 자산 불려나가기 (22. 8. 14.)
:가양역 서광등촌마을(10억)에서 염창동으로 이사 고민 중
1) 염창 동아 1차, 일신 건영 휴먼빌, 염창동 월드 메르디앙 중에는 한강 영구조망권/세대수로 동아 1차가 좋지만
2) 10억이면 고덕역 근처가 9호선/5호선, 학군, 회사 있어 더 좋음.
73. 진정으로 부자가 되고 싶은 분만 봐주세요 (22. 8. 16.): 부자가 되는 습관
1) 불편한 일을 꾸준히 오래 하기
2) 일기장/블로그에 그 날 공부/경험한 것을 기록하기 (객관화, 큰 그림 보기)
3) 독서
+) 매일 기록하면 독서나 투자공부를 더 지속하기 쉽더라고요. 올해에는 명상, 독서, 운동, 기록을 매일 해봐야겠습니다.
74. 결혼 생각 없는데 집이 있어야 하나요? (22. 8. 18.)
-자산은 인플레이션을 이기는 최소한의 방어, 집은 필수적이라 환금성이 높음
-많은 사람들이 좋아해서 자주 언급되는 곳을 매수
75. 분당, 판교, 과천 아파트 중에 어디를 선택하실건가요? (22. 8. 21.)
1) 판교
-장점: 일자리 풍부한 자족도시, 현대백화점, 호텔, GTX
-단점: LH 아파트라 브랜드가 떨어지고 예쁘지 않음, 일자리 많아 도시가 복잡함
2) 과천
-장점: 조용, 녹지, 대부분 역세권, GTX, 위례과천선, 새 아파트 단지들이 훌륭
-단점: 상업시설 부족, 일자리 부족
+) 저는 판교 아파트를 더 갖고 싶어요.
76. 광명, 하남 중 여러분들의 선택은 어디인가요? (22. 8. 23.)
1) 하남
-장점: 5호선, 신도시로 깔끔(상권과 주거 완전히 분리), 스타필드(트레이더스/신세계백화점)/코스트코, 공원/한강
-단점: 서울 중심에서 멀다, 5호선은 배차 간격이 20분으로 긴 편
2) 광명
-장점: 재건축/재개발로 도시 전체 탈바꿈, 사대문/여의도/가디 직주근접 , 7호선 환승 없이 강남구청 하차, 이케아/롯데아울렛/코스트코, 중대병원, KTX
-단점: 구도심의 빌라가 있어 소득수준이 하남보다 낮음, 하안주공 재건축 문제
77. 당신에게 17억이 있다면 똘똘한 한 채와 다주택 중에 어떤 선택을 하시겠습니까? (22. 8. 23.)
1) 강남구 삼성 힐스테이트 2차 15평(전용 12평), 노원구 중계 무지개 21평(전용 15평): 오피스텔은 공간을 넓어보이게 뽑지만 아파트로는 작은 평수라 메리트가 없음
2) 반포 재건축 똘똘한 한 채로 갈아타는 것으로 추천
78. 아파트는 자산일까요? 부채일까요? (22. 8. 28.)
1) 돈을 벌어줄 때만 자산: 집값 상승폭이 비용/이자보다 커야 함
2) 매도해야 자산
79. 이 사람들과 친해져야 경제적 자유에 가까워집니다. (22. 8. 30.)
1) 생산자 팀: 물건/컨텐츠/사업/장사 등 무언가를 제공해 수익 얻음 (불편한 것을 찾아 고치기)
2) 잘 때도 돈을 버는 팀: 스마트 스토어, 온라인 마켓, 자산 (잘할 수 있는 것을 고민, 기록)
+) 미국주식이 바로 생각나네요.
3) 인플루언서 팀: 인플루언서가 되거나 그 팀에 들어가 일하기
80. 하남, 일산, 노원 재건축 아파트 중 어디가 좋을까요? (22. 9. 1.)
1) 중계그린아파트(월계 센트럴아이파크와 비교-그보다 상급): 대단지, 중계역 바로 아래라서 재건축 시 대장 =
2) 동대문구 휘경주공아파트: 배봉산/답십리 공원으로 버스 타야 전철역 이용 가능, 일자리와 가까운 장점이 없어짐
3) 일산 문촌주공 9단지(킨텍스 신축과 비교): 초품아, 호수공원으로 이어짐, 학군 좋음, 19~20평대로 균일, 용적률 129%로 아주 낮은 편, 영구 임대 비율이 높음(신규 분양 시 임대 세대 만들 필요는 없지만 임대가구 이주가 힘듦), 가격이 저렴
4) 하남 부영아파트(하남 풍산아이파크와 비교): 하남 검단산역 옆, 스타필드 근처, 용적률 200% 넘음
결론: 중계, 일산 추천 (중계가 입지는 더 좋지만 일산은 1기 신도시를 밀어줘 속도 날수도 있음)
*재건축 중점: 입지와 사업성 (완공 후 가장 좋을 매물 찾기, 근처 신축 가격 확인)
'부동산 > 부동산 영상 요약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희구 작가님 유튜브 영상 정리 101~120 (ft. 부동산 투자) (0) | 2025.01.10 |
---|---|
송희구 작가님 유튜브 영상 정리 81~100 (ft. 부동산 투자) (0) | 2025.01.09 |
송희구 작가님 유튜브 영상 정리 41~60 (ft. 부동산 투자) (0) | 2025.01.07 |
송희구 작가님 유튜브 영상 정리 21~40 (1) | 2025.01.06 |
송희구 작가님 유튜브 영상 정리 1~20 (0) | 2025.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