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월, 엔터주 산업보고서를 보며 주가하락의 이유, 중국 모멘텀(한한령 해제, 광고, 콘서트, MD, 디어유-텐센트 서비스), 긍정적인 외부환경(관세, 환율, 중국 시장, 대형 IP), 고평가 논란, 아티스트별 활동을 총정리해보겠습니다.
참고한 보고서:
-유진투자증권 [과한 주가하락, 이유가 있지 않을까?] ( 25. 3. 11.)
-신한투자증권 [세 가지 빅 사이클] (25. 3. 18.)
-키움증권 [차이나 임팩트] (25. 3. 25.)
1. 주가 하락
-JYP 주가 하락: SM, YG 실적 따라 JYP도 실적 기대감 있었지만 예상 하회로 주가 하락
-하이브: 일시적인 손실 반영으로 실적이 낮음
2. 중국 모멘텀
1) 슬슬 시작되나?: 지난 8년간의 한한령 드디어 해제?
-2024 10월 디어유-텐센트 계약 체결, KPOP (블랙핑크/세븐틴/TXT) 팝업스토어
-2024 11월 중국 무비자 관광 허가
-2024 11~12월 정부 발표에서 중국 현지 KPOP 공연 거론
-2025 2월 한한령 해제 일정 보도(이르면 5월 전면적 해제)
-2025 3월 봉준호 감독 영화 [미키 17], 4년만에 중국 전역 개봉(할리우드 영화로 분류했다는 보수적 의견 공존)
-중국 개방으로 Q가 늘어나면 이익은 성장
2) 출연/광고
-중국내 보이그룹/중국 국적 아티스트/탑티어 아티스트는 수익을 실현할 가능성이 있음
3) 콘서트
-2016 빅뱅 중국투어: 29회 공연, 182,000명 모객, 회당 매출 9.4억원
*중국 공연 시 총 매출액(티켓 가격*관객수)는 중국이 얻고, 소속사에는 회당 출연료를 지급
이건 어느정도 규모일까? 방탄은?
-콘서트 기획 시기: 6개월~1년 전부터 준비
-향후 전망: 대규모 투어를 바로 시작하긴 어렵고, 단기 행사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
-2023~2024 일회성 행사 (파란 칸: 하이브)
-2024 전 세계 콘서트 모객수
4) MD(굿즈)
-4개 엔터사 모두 MD사업 내재화 (아티스트/캐릭터/타사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제품 다각화)
-콘서트 굿즈 소비는 보통 티켓 가격의 절반 수준
*중국 판매 시 총 굿즈 판매액에서 수수료 일부를 중국 업체가 인식, 매출의 70%만 한국 소속사에 귀속될 것으로 예상
5) 디어유-텐센트 서비스
-4월부터 QQ뮤직 내에 디어유의 '버블'을 오픈해 아티스트가 팬들과 직접 소통
*QQ 뮤직: 텐센트의 최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스포티파이와 합작 투자)
-디어유 버블의 중국 구독자 비중은 35%으로 현재 iOS로만 접속 가능, 텐센트를 통하면 안드로이드에서도 접속 가능해짐
-텐센트의 의도: 소셜 엔터(아티스트의 방송/공연/팬 소통에서 수수료 수취)의 ARPPU가 음악보다 6개 가량 높으나 외형 하락 중, 한국 아티스트의 참여로 이익 성장을 노릴 셈
3. 긍정적인 외부 환경
1) 해외: 미국 관세 없음, 중국 개방 예상
2) 환율/금리: 환율 높음, 금리 인하
3) 멀티플 상승 가능성: 17~18년 유튜브/음원매출로 평균 66~100배, 20~23년 앨범 판매로 평균 37~75배
4) 대형 IP 귀환: 빅뱅의 군입대 우려로 주가하락/재대 후 주가 상승, BTS 6월 제대 예정
4. 고평가 논란
1) 현재는 고평가: 엔터주 평균 PER 30배
2) 하이브, 26년 기준 PER 26배
-24년: BTS 없이도 연간이익 1,840억원
+) 산업보고서에서는 24년 이익에 BTS 예상 이익을 더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세븐틴이 올해부터 입대, 뉴진스는 활동이 없는데, 이전과 이익이 같을지 개인적으로 의문이 듭니다.
-25년: 하반기 BTS 앨범/음원, 지난 3년간 해외 음악 레이블(일본/미국/라틴)에 투자, 이제 결과물을 볼 때(24년 캣츠 아이, 25년 일본 1팀, 라틴 2팀, 하반기 게임 출시)
-26년: 26년 BTS 콘서트 예상, BTS글로벌 투어로 매출 1조원 예상(300만명 x 20만원 + 굿즈 매출), 시총 최소 5천억원 대
*미국 티켓은 일부 경매형식으로 티켓가격 상향 조정 가능
시기 | 공연 | 평균 티켓 가격 |
2022 2Q | BTS 미국 4회, 세븐틴 한국 2회 | 35만원 |
2023 3Q | 슈가 솔로 월드투어 포함 | 22만원 |
3) 하이브의 리스크: 게임/테크에 무리수투자
5. 아티스트별 활동
키움증권에서 너무나 자세히 표를 넣어주셨지만 제가 관심이 있는 기업, 하이브만 확인했습니다.
'주식 > 국내주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SDI 유상증자 총정리(규모, 시기, 전망) (0) | 2025.03.15 |
---|---|
네이버 2024 4분기 실적 (ft. IR자료) (1) | 2025.03.02 |
하이브 2025 전망 증권사 보고서 총정리 (4) | 2024.12.08 |
펩시코(PEP) 매수 타이밍일까? (1) | 2024.11.20 |
화이자, 매수 타이밍일까? (1) | 2024.1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