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반도체 랠리가 이어지며 현대차 주가가 많이 빠졌는데요,
1분기 실적이 양호할 것으로 예상하는 증권사 리포트(24. 4. 4.)가 나와 소개해보겠습니다.
SK증권: 편안한 펀더, 불편한 주가 (윤혁진 애널리스트, 4월 3일 발간)
1. 매출: 39.5조원(+4.5% YoY, -5.2% QoQ), 컨센 부합
1) 자동차: 31.8조원
2) 금융: 5.3조원
3) 기타: 2.2조원
2. 영업이익: 3.7 조원(+3.7% YoY, +8.7% QoQ), 컨센 소폭 상회
1) 자동차: 3조원
2) 금융: 0.2조원
3) 기타: 0.1조원
3. 영업이익률: 9.4%
1) 자동차: 9.6%
2) 금융: 4.8%
3) 기타: 6.1%
4. 판매량: 도매 100.3 만대(- 1.9% YoY)로 감소
1) 국내: 16.0 만대(-16.3%), 높은 금리로 구매 감소/국내 공장 전환 공사/개별 소비세 인하 효과 제거로 인함
2) 해외: 84.3 만대(+1.4%), 북미 판매량 7% 이상 증가
3) 미국 소매/도매 판매량
*Fleet은 법인, 렌트차량 등 대량 판매를 말합니다.
5. ASP(평균 판매 가격): 23,000 달러 이상으로 상승세
1) 환율: +4% YoY, 분기말에는 환율 상승으로 북미 충당금 평가액이 낮아질 수 있음.
2) 마진율 높은 차량 판매: 제네시스, SUV, 하이브리드 차량의 비중 증가
중형차(D급) 이상 판매비중 65% 이상이며 ASP는 19년 이후 계속 상승세입니다.
*참고: 전기차는 마진율이 5%대로 낮은 편입니다.
3) 미국 수출 물량 증가
*참고: 북미는 현대차의 ASP가 두 번째로 높은 지역으로 알고 있습니다.
6. 밸류에이션
1) 글로벌 자동차 기업과의 비교
완성차 판매량 상위 2개 기업과 비교해볼게요.
PER(2위), OP 성장률(2~3위), PBR(2~3위), ROE(1, 3위)은 2024년 예상치입니다.
현대차 | 기아 | 도요타 | 폭스바겐 | |
시총 (십억원) | 46,325 | 42,054 | 526,608 | 96,994 |
PER | 4.5 | 4.5 | 10.4 | 4.3 |
OP 성장률 | 1.3 | 2.3 | 4.8 | 7.2 |
PBR | 0.5 | 0.7 | 1.4 | 0.3 |
ROE | 11.1 | 16.1 | 14 | 8.3 |
부채비율 | 123.6 | 8.9 | 100.4 | 122.6 |
2) 밸류업 프로그램: 5월 이후 주주가치 개선안을 발표한다면 추가 상승 여력 있음
3) PER, PBR 밴드
*참고: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PER 밴드 상 비싼 구간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PBR 대비로는 상대적으로 더 올라와있는 모습인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판단하시는지 궁금하네요.
7. 시장점유율
1) 미국: 7%대, 상승세
2) 유럽: 4%대, 상승세
*참고: 미국과 유럽의 시장점유율 그래프를 보니 상향하는 중이었어요.
중국 판매가 줄어들고 인도에서 선방하는 가운데 위안이 되는 자료입니다.
8. 향후 ASP, OPM
*참고: 관련 기사들을 보면 전기차는 마진이 5%로 낮다고 합니다.
때문에 기아에서도 하이브리드 차종을 9개로 확대하고 현대도 미국 전기차 공장에서 하이브리드 차를 생산할 예정이예요.
반면 인도에서는 정부가 자국 내 전기차 생산 기업에 세금혜택을 확대하고 있어 해외 업체의 전기차 공세가 심합니다.
이미 인도에서 현지 맞춤형 차량 크레타 등을 판매하며 자리를 잡고 있던 현대, 기아차도 전기차 생산 확대 시기를 앞당겨야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해요.
마진률이 높은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차량보다 전기차 생산이 확대되는 시기가 오면 마진률은 자연스럽게 줄어들 수도 있겠습니다.
'주식 > 국내주식 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라인 이슈 정리(ft. 일본의 압박, 진전 상황) (1) | 2024.05.03 |
---|---|
SK하이닉스 2024 1분기 실적발표 (0) | 2024.04.27 |
풍산 신동, 방산 부문 사업내용 총정리 (2) | 2024.03.22 |
네이버에 투자하는 지극히 개인적인 이유 (0) | 2024.03.21 |
케이씨텍 2023 3분기 실적발표 총정리 (0) | 2024.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