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해외주식 알아보기

2025 TSMC 공장 증설 계획 (ft. 기사 총정리)

by 짭짤한 앨리스 2024. 12. 25.
728x90

반도체주는 사이클이 있어 주가가 2년마다 등락을 반복합니다. 

TSMC의 공장 설립 및 투자 계획을 확인해보면서 2025년 전망은 어떨지 살펴보겠습니다. 

 

1. 반도체의 사이클이란?

 

반도체는 교체주기 또는 기술 발달에 따라 사이클이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거나 교체주기가 되면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고 가격이 높아져 상승 사이클이 됩니다.

반도체 제조사는 수요에 맞춰 대규모 증설로 생산량이 늘리게 되는데요,

그러면 반도체 가격은 떨어지고 하락 사이클이 찾아옵니다.  

 

2. 파운드리 점유율

 

TSMC는 시장 점유율이 66%파운드리 세계 1위 기업입니다.

 

3. 증설

 

1) 일본 구마모토 1공장, 24년 12월 양산 시작
-TSMC의 일본 자회사인 JASM 주도

-고객사: 소니그룹, 덴소 등

-제품: 연산용 로직 반도체 생산(TSMC 공장과 동일한 품질), 6㎚급 제품 생산을 목표

-생산능력: 1·2공장 가동 시 월간 생산능력은 300㎜ 웨이퍼 환산 10만장 이상, 일본 내 조달 비율 현재 45%이나 26년 50%, 30년 60% 예정

-구마모토 2공장: 2025년 1~3월 중 공사 시작, 2027년 가동을 목표
-투자액: 약 2조9600억엔, 일본 정부가 최대 1조2000억엔 보조

 

2) 2025년, 팹 10개 증설

-25년까지 첨단 패키징 공정인 ‘칩 온 웨이퍼 온 서브스트레이트’(CoWoS) 생산능력을 2배로 늘릴 예정

-글로벌 협력사들에 3년 안에 생산능력을 2배 이상 확대 요청

-짓고 있는 팹(공장)과 새로 착공할 시설을 포함해 내년에만 팹 10개가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지어질 것

-10월 실적 발표에서 고객사들의 2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m) 공정 제품에 대한 수요가 3나노보다 매우 많다고 밝힘

 

TSMC, 협력사들에 “AI 수요 계속될 것… 2배 생산 확대 준비하라”

TSMC, 협력사들에 AI 수요 계속될 것 2배 생산 확대 준비하라 전방위 협력사에 최소 3년 내 생산능력 배로 늘려야 업계 내년 TSMC가 짓는 공장 10개 달할 전망 최첨단 2나노 제품 양산은 내년부터 美

biz.chosun.com

 

3) 미국 애리조나 공장

-제품: 4나노 이하, 엔비디아의 ‘블랙웰’을 위한 TSMC 반도체를 미국 공장에서 생산하려 협의 중

-수율: 애리조나 피닉스 1공장은 수율 70%상회

*2024 3분기 중 애리조나 공장에서 4나노 공정으로 애플 아이폰 16 생산 돌입

-고객사: 애플, AMD, 엔비디아

-첨단 팹 2개 더 건설: 미국 애리조나에  650억달러(약 92조원) 투자

-애리조나 2공장: 2028년, 나노시트 트렌지스터 구조 2나노 공정 웨이퍼 생산

-애리조나 3공장: 2030년, 2나노 이상 최첨단 제품 생산

 

“TSMC, AI 산업의 장기 승자 될 것”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가장 존경하는 인물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의 창업자 모리스 창 전 회장이다. 대만 타이난성 출신인 황 …

weekly.donga.com

 

4) 대만 가오슝 공장

-가동 시기: 대만 가오슝 1공장 2025 1분기, 2공장 2025 3분기 가동 예정

-수율: 현재 60% 후반대, 2나노 시제품 양산 중

-기술: GAA 처음 적용

-고객사: 애플, AMD, 엔비디아 등 확보 

(삼성전자: 테일러시 파운드리 공장 2나노 공정 중심으로 수정, GAA 기술을 2년 일찍 시작해 유리할 수 있음)

-가오슝 4~5공장 1.4나노 생산 예정

 

 

“내년 2나노 시대 열린다”… 삼성전자·TSMC, 파운드리 각축전 본격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의 새로운 격전지인 2나노(1㎚=10억분의 1m) 시대가 내년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주요 파운드리 업체들이 내년을 기점으로 2나노 대량 생산체제를 가동할 예정이다.

www.asiatoday.co.kr

 

5)  그 외 대만 공장

-북부 신주 과학단지의 바오산 지역에 2나노 공장 건설중

-북부 먀오리 퉁뤄(2027 양산), 남부 자이현 타이바오(2028 양산)에 첨단 패키징 공장 건설 예정

 

4. 기술 및 2나노/3나노 생산량(모건스탠리 전망)

 

-2024 10월, ASML 하이 NA EUV 노광장비 도입

-3나노 생산: 올해 웨이퍼(반도체 원판) 기준 월 9만 장, 내년 12만 장, 2026년 14만 장 예상

-2나노 생산: 내년 월 1만 장, 5만 장 수준까지 확대, 2026년에는 8만 장 내외 예상

-첨단패키징 공정: 2024 3~4만장, 2025 월 7~8만장(9~10만장), 2026 월 15~16만장 예상

-TSMC 경영진은 향후 5년간 회사 연평균 성장률 15~20% 전망, AI수요 수년간 지속 예상

 

TSMC 엔비디아와 파운드리 가격 인상 합의, 내년 3나노 설비 투자 늘릴 계획

TSMC 엔비디아와 파운드리 가격 인상 합의, 내년 3나노 설비 투자 늘릴 계획

www.businesspost.co.kr

 

5. 가격 인상 

 

-3/5나노 가격:  2024 3분기 3나노와 5나노 공정의 주문 가격을 8%가량 인상

-2나노 가격: 웨이퍼 장당 가격은 3만 달러(약 4100만 원)로 추정, 3나노 공정(약 1만 8000달러)의 1.7배 수준

애플 등 일부 고객사는 TSMC의 가격 인상 수용

 

*시장 전망

2025 세계 반도체 시장은 AI(인공지능)와 HPC(고성능컴퓨터)의 수요로 15% 성장할 전망 (시장조사업체 IDC)

*JP모건체이스, 2028년 TSMC의 전체 매출의 35%가 AI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

 

개인적인 의견

 

매수해두었던 TSMC의 수익률이 100%가 넘어갑니다.

좋으면서도 언제가 피크이려나 조심스러운 마음이 드는데요,

 

이전에 사이클에 따라 반도체 주가가 40~50%는 쉽게 빠지는 모습을 봤었고

공장 증설로 물량이 많아질테니 그 전에 대부분 매도해야지 생각하기도 하는데요,

2025까지 수요가 세서 물량을 다 소화해내기 힘들다거나

2나노의 가격은 3나노의 1.7배일 거라는 얘기를 들으면 (2025 3나노는 월 12만장, 2나노는 월 1~5만장 예상) 

조금 더 들고있을까 욕심이 나기도 합니다. 

 

꼭지에서 파는 건 어려우니 100% 이상에서 주식의 1/2를, 2나노 생산 후에 다시 남은 주식의 1/2을 매도하고

나머지 주식은 다음 사이클까지 들고갈까 싶어요.

 

매번 매도도 참 어렵네요.

모두 성투하세요!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