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지식/경제 뉴스

2024. 4. 4. 네이버 관련 경제 기사 총정리

by 짭짤한 앨리스 2024. 4. 4.
728x90

 

1. '사진 한장으로 3차원 공간을'..네이버 AI ‘더스터’ , 나이언틱 글로벌 대회 1위

 

네이버의 연구개발(R&D) 자회사, 네이버랩스유럽이 개발한 인공지능(AI) 솔루션  ‘더스터(DUSt3R)’는 최근 미국의 증강현실기업 나이언틱이 주최한 공간 정밀화 챌린지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1위 ‘더스터 업그레이드 모델’, 2위 ‘더스터’)
한 장의 사진으로 즉석에서 3차원 공간을 생성하는 성능을 측정하여 순위를 매깁니다. 

‘더스터’는 두장의 사진만 찍으면 2~3초 만에 정확한 3D 공간을 복원해 보여줍니다.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한 AI 파운데이션 모델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올해 6월 세계 최대 컴퓨터 비전 학회인 CVPR에서 공식 발표될 예정입니다. 

활용도는 다양한데요, 로봇/자율주행차량의 인식 능력을 향상하거나 드라마 세트장을 복원하고, 인테리어 조감도를 만들며, 소실된 유적지나 멸종된 동·식물을 3차원으로 재현해 연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AI의 ‘소라’는 텍스트를 입력하면 영상을 생성하고, 엔비디아의 ‘3D라떼’는 텍스트를 3D 그래픽으로 변환하는데요,
더스터는 로봇, AR, 디지털트윈 등을 하면서 실재하는 공간을 똑같이 본따는 것이 핵심입니다. 
네이버는 로봇과 디지털트윈에 공을 들이는만큼 비전 AI 역시 지오메트리(A에서 B지점으로 움직이는 것)에 집중합니다. 

네이버랩스의 기술은 네이버클라우드를 통해 외부에 판매하는데요,

국립중앙박물관에서도 활용중인 아크아이(ARC eye)는 디바이스로 대규모 공간을 고정밀 매핑·측위까지 해냅니다. 

>기술을 꾸준히 발전시키고 있는 네이버, 6월 발표를 기대해봐야겠습니다. 

 

[단독]'사진 한장으로 3차원 공간을'..네이버 AI ‘더스터’ , 나이언틱 글로벌 대회 1위

네이버의 연구개발(R&D) 자회사인 네이버랩스가 개발한 인공지능(AI) 솔루션이 최근 미국의 증강현실(AR) 기업 나이언틱(Niantic)이 주최한 공간 정밀화 챌린지(Map-free Visual Localization Challenge)에서 1위

www.edaily.co.kr

 

 

2. 게시물 신고센터에 '사칭 피해 신고' 창구를 추가 개설

 

>네이버가 신뢰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유명인 사칭 사기 기승에…네이버, 피해 신고 채널 신설

(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네이버(035420)가 유명인 사칭 사기 피해 예방에 나섰다.네이버는 4일 게시물 신고센터에 '사칭 피해 신고' 창구를 추가 개설했다.기존에도 사칭 관련 신고가 가...

www.news1.kr

 

 

3. 네이버, C레벨-리더로 직급 간소화 '최수연 리더십 힘실린다'

 

네이버는 조직개편으로 CIC를 없애며 기존 C레벨-CIC 대표-책임리더-리더의 직급체계를 C레벨-리더로 단순화했는데요,

리더들은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자유롭게 목소리를 내고 경영진은 협업, 지원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가 AI 추진에 속도를 높일 모습이 기대됩니다. 

 

[단독]네이버, C레벨-리더로 직급 간소화…'최수연 리더십 힘실린다' - 아시아경제

네이버가 책임리더제를 폐지하고 최고경영진(C레벨)과 리더로 직급을 간소화한다. 사내독립기업(CIC·Company in Company)을 9년 만에 없애고 전문 조직으로 개편...

www.asiae.co.kr

 

 

4. 정부와 민간기업이 모여 'AI전략최고위' 출범

 

협의회는 이정호 과기부 장관,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 AI 분야 전문가 23인, 과기부/기재부/산업부/중기부/교육부/개보위/ 방통위 등 주요 관계부처 실장급 공무원 7인 등 총 32인으로 이뤄졌다.
협의회는 6개 분과위원회(AI 반도체, R&D, 법·제도, 윤리안전, 인재, AI 바이오)로 운영됩니다.

내 100여개 이상의 AI 관련 기업이 외부 민간 자문단을 구성해 정부의 정책에 대해 의견을 더합니다. 

플랫폼 분야에서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정신아 카카오 대표, 통신 분야에서 유영상 SKT 대표와 김영섭 KT 대표, AI 반도체 분야에서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 사장과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가 참여합니다. 

 

과기부는 AI에 올해 총 7,102억 원을 투자하는데요,

보육·교육·주거 등 사회복지 분야 AI 도입에 755억 원, 근로 현장 AI 접목에 2,881억 원, 공공행정의 AI 내재화에 1,157억 원, 국민 AI 활용 역량 제고 등 인프라 확충에 2,309억 원을 투입합니다.

AI 산업기술 경쟁 우위 확보, 전산업 AI 대전환 가속화, 국민 일상에 선도적 AI 도입,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을 과제로 하고요,

AI 기술 선점을 위해 대형 R&D 프로젝트 지원, 저전력 AI 반도체 기반 클라우드 AI 데이터 센터 고도화, 온디바이스 AI 격차 확대 등을 추진하며 거대 트래픽을 대응할 수 있도록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를 구축, 6G 상용화 속도를 높입니다.

>AI 관련 기업들이 투자 수혜를 보겠습니다. 

 

AI전략최고위 출범정부삼성네이버카카오 뭉친다

정부가 7개 주요 관계 부처와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유수 기업이 협력하는 초거대 인공지능(AI) 협의체를 출범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관이 함께 주도하는 AI전략최고위협의

www.wowtv.co.kr

 

 

5. ‘1억엔 클럽’ 또 나왔다…네이버웹툰, 日 시장서 고공행진

 

네이버웹툰의 일본어 서비스인 ‘라인망가’에서 월 거래액 1억엔을 넘긴 작품이 또 나왔다.
웹툰 ‘상남자’는 지난 3월 한 달 거래액으로 1억1500만엔(약 10억2000만원)을 기록했는데요,

김태궁 작가의 웹소설 원작을하늘소·도가도 작가가 웹툰으로 재탄생시켰습니다.

한국에서 시작해 영어·일본어·인니어·태국어로도 연재되고, 자회사인 스튜디오N을 통해 드라마로 제작 중입니다. 

라인망가에서 월 거래액 1억엔을 돌파한 웹툰은 지난해에 3개인데요,

현지 발굴된 ‘신혈의 구세주~’도 지난 1월 웹툰 월 거래액 1억2000만엔을 기록했습니다. 

네이버웹툰 미국 본사 ‘웹툰 엔터테인먼트’ 내의 라인 디지털 프론티어는 라인망가와 이북재팬 플랫폼을 지니고 있는데요,

지난해 통합 거래액은 11개월 만에 1000억엔으로 최고점을 찍었습니다. 

 

‘1억엔 클럽’ 또 나왔다…네이버웹툰, 日 시장서 고공행진

네이버웹툰이 ‘만화 강국’ 일본을 홀리고 있다. 네이버웹툰의 일본어 서비스인 ‘라인망가’에서 월 거래액 1억엔을 넘긴 작품이 또 나

economist.co.kr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