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가 최근 2024 1분기 실적발표를 한 뒤에 주가가 폭락했는데요,
기업의 IR 자료를 보며 실적발표를 총정리해보겠습니다.
1. 손익계산서
매출은 가이던스를 상회, 매출총이익률과 영업이익률은 가이던스에 부합한 양호한 실적입니다.
영업이익률이 42%대로 높게 유지되고 있어요.
2023 1Q대비 매출은 12.9% 높고요,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3.5ppts, 2.7ppts 낮아졌습니다.
전분기 대비로는 매출이 3.8% 낮아졌지만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0.4ppt, 0.2ppt 높아졌어요.
2. 매출
1) 기술별
5나노 37%, 7나노 19%, 3나노 9%가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2023 4분기에는 5나노 35%, 7나노 17%, 3나노 15%였는데, 이번 분기에는 3나노의 비중이 많이 줄었습니다.
전 분기에 3나노 판매 비중이 늘어가는 추세라고 실적 발표를 했었는데 반대의 결과네요.
7나노 이하의 제품들만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2) 플랫폼별
전분기 매출 비중은 컴퓨터 43%, 스마트폰 43%, 자동차 5%, IoT 5%, 디지털가전 2%, 기타 2%였는데요,
올해는 컴퓨터 46%, 스마트폰 38%, 자동차 6%, IoT 6%, 디지털가전 2%, 기타 2%로 스마트폰의 비중이 줄어들었습니다.
얼마나 줄었는지 아래에서 볼 수 있는데요, 16%나 감소했고요.
업황이 좋지 않은 자동차는 플랫합니다.
디지털 가전이 33%나 올라왔고 IoT는 5%, 컴퓨터는 3% 성장했습니다.
3. 대차대조표
현금과 유가증권은 1922로 전분기의 1687보다 늘었습니다.
미수금과 재고의 비율은 전분기와 비슷하고요,
PP&E(자산, 플랜트, 장비)의 자본 비율은 52.7%로 전분기의 55.4%보다 줄었습니다.
그만큼 자본이 늘었다는 뜻일 수 있겠죠?
부채는 전분기보다 소폭 증가했지만 총 자산 대비로는 36.7%라서 전분기(37%)보다 비율이 줄었고요.
총 주주자본은 0.3% 늘어난 63.3%입니다.
4. 주요지수
1) A/R 회전일수 (매출채권 회전일수)
매출채권은 31일만에 회수되고 있어 양호합니다.
2) 재고회전일수
재고 회전일수는 며칠만에 재고가 팔리는지를 나타내는데요,
현재 90일로 1Q23 대비 6일이 줄었고, 전분기보다는 5일 늘었습니다.
3) 유동비율
유동비율은 2.4로 유동부채 대비 유동자산이 2.4배 많아요.
4) 자산생산성(연간 순매출/평균 순 PP&E)
자산, 플랜트, 장비 대비 매출은 0.8배입니다.
5. 2024 2분기 가이던스
1) 매출: 196억~204억달러 (1분기는 188억 달러)
2) 매출총이익률: 51~53% (1분기는 53.1%)
3) 영업이익률: 40~42% (1분기는 38%)
4) 2024 가이던스: 분기가 갈수록 사업 성장, 연간 매출은 미국 달러 기준 20% 초중반까지 증가
5) AI 가이던스
-2024: AI 관련 매출은 연간 2배 이상 증가해 전체 매출의 10% 미만을 차지
-향후 5년: AI 관련 CAGR는 50%로 성장, 2028년까지 매출의 20% 이상으로 성장
서버 AI 프로세서가 HPC 플랫폼 성장의 가장 강력한 원동력
6. 좋은 이슈 & 나쁜 이슈
AI 반도체의 수요는 좋았는데도 주가는 급락했는데요.
실적발표에서 나왔던 이슈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레거시 반도체 부진
자동차,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레거시반도체(고전적인, 사이즈 큰 반도체)의 수요가 정체되고 있습니다.
2) 3나노
매출 부분에서 봤듯이 스마트폰 계절성으로 인해 최첨단 반도체인 3나노 매출이 줄었어요.
2분기에는 스마트폰 수요가 천천히 회복되어 3나노 매출이 조금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장기적인 추세에 따라 5나노 라인을 3나노로 전환하려고 합니다.
올해 3나노 매출은 작년의 3배 이상일 것으로 전망했어요.
공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하반기 매출총이익률은 1~2% 낮아질 수 있습니다.
3) 전기세
대만의 전기세는 작년 17%, 올해 25% 연이어 인상되어 2분기 매출의 0.7~0.8%를 차지할 예정입니다.
하반기에도 마진은 0.6~0.7% 낮아지며 재료비도 함께 증가해 간접적인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 지진
지진으로는 1280억원을 손해보면서 매출 총이익률이 0.5% 줄어들었다고 해요.
정전이나 구조적 피해는 없었고 노광장비 등 주요 장비도 영향이 없었습니다.
생산 손실은 대부분 2분기에 회복되므로 2분기 매출에 미치는 영향도 적을 예정이예요.
5) 칩 가격 인상
2024. 4. 19. 연합뉴스에 따르면 TSMC가 해외 공장 생산 칩들의 가격을 인상할 계획입니다.
해외 공장은 대만보다 생산비가 더 들기때문에 대만 외의 지역에서 가격을 인상하고요,
이미 고객들과 가격 인상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TSMC는 일본, 미국에 공장을 갖고 있고, 독일에도 공장을 세울 예정이며 이번달부터 미국 애리조나 공장을 가동합니다.
6) 반도체 업황
메모리를 제외한 2024년 반도체 시장은 전년 대비 10% 증가할 것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파운드리 산업 성장은 현재 10%~10% 중반대로 예상됩니다.
7) 증설
-애리조나주: 3개의 팹
첫번째 팹에서는 올 4월에 N4 공정 기술을 사용해 엔지니어링 웨이퍼 생산을 시작, 2025년 상반기 양산 예정입니다.
두번째 팹은 2나노미터 기술을 활용하며, 2028년부터 생산이 시작됩니다.
세번째 팹은 2나노미터 이상의 첨단 기술로 10년 안에 생산하게 됩니다.
-일본: 2개의 팹
구마모토에서는 전문 기술 팹을 개소해 12/16, 22/28나노 공정 기술을 활용하며 올 4분기부터 대량생산합니다.
두번째 팹은 40, 12/16, 6/7나노 공정 기술을 활용하며 2024년 하반기 착공, 2027년 말 생산 예정입니다.
-독일 드레스덴
자동차 및 산업 응용 특수 기술 공장을 올해 4분기부터 건설합니다.
8) 2나노 기술
2나노미터 기술은 나노시트 트랜지스터 구조로 밀도와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합니다.
N2는 N3와 램프 프로필이 유사해 2025년에 대량 생산할 예정입니다.
+최근 업황
주주분들은 TSMC에 계속 투자해야할지 매도해야할 지 고민이 될 것 같은데요,
뉴스를 통해 최근 업황도 정리해보겠습니다. (원치 않으시면 바로 7번 현금흐름표로 넘어가주세요.)
1) 느린 업황 개선
예상보다 반도체 수요가 빠르게 늘지 않아서 반도체 기업들은 투자와 증산에 몸을 사리고 있습니다.
[삼성] 삼성 최근 삼성도 새로운 파운드리 공장의 가동을 기존 2024년 말에서 2026년으로 1년 넘게 미뤘어요.
[ASML 장비 주문] ASML의 장비 주문도 전분기에 비해 88%나 감소했다고 합니다.
(당장 사용하지 않을 장비는 나중에 구매하려 하니 장비 주문으로도 반도체 업황을 가늠할 수 있네요.)
[공급 과잉] 파운드리 반도체 공장도 일본, 미국 등에 10개 가까이 지을 예정이라 공급 과잉이 우려된다는 기사도 있어요.
2) TSMC의 저력
[AI칩 점유율] 2024. 3. 17. 중앙일보 기사 에 따르면 TSMC는 AI칩 점유율이 90% 이상이라고 합니다.
설계에서 누가 이기든 제작하는 TSMC는 수혜를 볼 거라는 내용이었어요.
[첨단 공정일수록 가격 인상] 3나노는 회로 선폭을 좁혀 소비전력은 줄이고 처리속도는 빠른데요,
수율이 낮아 7나노보다 2배 더 비쌉니다.
2023 4분기 실적발표에서는 3나노 매출이 늘어 TSMC도 긍정적으로 발표했었어요.
제 의견을 더하자면 첨단 반도체로 가는 건 당연한 수순일 듯 한데요,
3나노가 주춤할 수는 있어도 다른 반도체에 비해 "전력은 적게 들고 효율은 높으니" 길게 보면 더 주문이 늘어날 거예요.
[고객사] 고객사를 보면 애플이 작년 전체 매출의 25%, 엔비디아는 11%를 차지했고요.
그 외에도 미디어텍, 퀄컴, 브로드컴, 소니, AMD 등 주요 10개 고객사가 매출의 91%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3나노를 원했던 엔비디아는 TSMC의 생산라인이 가득 차서 4나노 공정으로 바꿨다는 얘기도 기사에 나와있었어요.
수요가 이렇게 높았는데, 이번 실적발표에서는 반대의 결과가 나왔죠?
3나노의 큰 고객인 애플의 핸드폰 판매가 저조하면서 매출 비중이 줄지 않았나 싶습니다.
7. 현금흐름표
잉여현금흐름은 255.01로 전분기의 224.67, 전년 동분기의 82.74에 비해 높아 긍정적입니다.
영업활동현금흐름도 436으로 전분기보다 좋습니다.
8. 주요 사건
1) TSMC 이사회 후보 발표(2024/04/12)
2) TSMC 애리조나와 미국 상무부는 CHIPS 법안에서 66억 달러 발표, 피닉스에 세 번째 첨단 팹 계획(2024/04/08)
3) R&D 수석 부사장 YJ Mii, 운영 수석 부사장 YP Chyn은 TSMC수석 부사장 및 공동 최고 운영 책임자로 임명(2024/2/29)
4) TSMC, 일본 구마모토에서 JASM 개장(2024/02/24), JASM는 일본 구마모토로 확장 예정(2024/02/06)
5) 2023년 4분기 NT$3.50 현금 배당 승인, 2024년 6월 13일을 배당락일로, 2024년 7월 11일을 분배일(2024/02)로 설정
'주식 > 해외주식 실적발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XN) 2024 1분기 실적발표 총정리 (0) | 2024.04.28 |
---|---|
프록터 앤 갬블(PG) 2024 3분기 실적발표 (ft. 실적 양호) (0) | 2024.04.24 |
알파벳(구글) 2023 4분기 실적발표 총정리 (0) | 2024.03.03 |
프로로지스, 고객은 어떤 기업일까? (1~25위) (0) | 2024.03.03 |
프로로지스 2023 4분기 실적발표 ③ 임대는 잘 되고 있나? (0) | 2024.03.03 |
댓글